윤홍식의 주역 강의: 팔괘편 3강, 진괘(☳): 두 판 사이의 차이

홍익학당 아카이브
새 문서: {{팔괘 강의}}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 | 강의일자 || 2021. 03. 27. 土. |- | 게시일자 || 2022. 04. 18. |- | 동영상 길이 || 51:03 |- | 강의 중 인용 도서 || 주역 |- | 유튜브 주소 || https://youtu.be/khqC_UneirI |} 오늘 진괘 진도 나갈게요. 진괘도 꽤 많네요. 진괘를 이해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오늘은 진괘, ​ (음양의 이해 : 곱하기 3) 일단 양음을 이해 하실때 중요한 게...
 
편집 요약 없음
22번째 줄: 22번째 줄:


(음양의 이해 : 곱하기 3)
(음양의 이해: 곱하기 3)


일단 양음을 이해 하실때 중요한 게 음은 끌어내리는 힘입니다. 수렴의 힘이죠. 양은 발산의 힘입니다. 일단 이걸 좀 기억하세요. 발산과 수렴, 양과 음, 이 괘를 보면 순수한 양, 순수한 음, 지금까지 다뤘던 것은 순수한 양과 순수한 음이었죠. 그런데 실제로 이 양과 음 조차도 싸우고 있는 상황이예요. 그러니까 이것도 보세요. 음이 끌어내리는 데 양이 치고 올라가는 중에 두 번 치고 올라가고 세 번 치고 올라간 모습이 실제로는 이거에요. 왜냐면 순수한 양, 순수한 음도 얘기할 수 있지만 현상계에서는 순수한 음, 순수한 양이 어딨어요. 양과 음이 서로 계속해서, 태극으로 돌아가고 있는 거죠. 양과 음이 서로 계속 다투고 화합하면서 이 우주가 굴러 가기 때문에 지금 건도 양이, 그러니까 발산이 지금 곱하기 3인 거에요. 하나하나 쌓여간 거죠. 이 곤괘가 유순 하다고 할 때도 이 유순함이, 지금 보세요, 그냥 유수함이 아니라 음이 양 밑에 생겨서 양은 계속 발산 하려고 하는 것을 음이 끌어당기는 거예요. 못나가게, 그러면 음이 2개가 커져서 더 끌어당기고 그러다가 음이 이렇게 커진 거죠. 유순함이라는 것도 굳셈에 대해서 유순함이 하나 생겨서 유순함이 점점 커지다가 굳셈과 계속 다투는 중에 유순함이 곱하기 3 이예요. 유순함이 얼마나 커졌겠어요, 부드러움이, 또 이렇게 반대가 아니라 다른 식으로 말하면 수렴력이, 이쪽은 발산력이, 굳셈이 이렇게 부드러움을 치고 올라간 거고, 굳센 중에 부드러움이 또 생겨서 부드러움이 치고 올라간 거예요. 그래서 지금 순수한 양과 음이라는 것은 형이상학적으로 있는데 현상계에서는 순수한 음과 양이 아니라 음양의 변화 속에서 우주가 굴러 간다. 이런 느낌 아시겠죠?  
일단 양음을 이해 하실때 중요한 게 음은 끌어내리는 힘입니다. 수렴의 힘이죠. 양은 발산의 힘입니다. 일단 이걸 좀 기억하세요. 발산과 수렴, 양과 음, 이 괘를 보면 순수한 양, 순수한 음, 지금까지 다뤘던 것은 순수한 양과 순수한 음이었죠. 그런데 실제로 이 양과 음 조차도 싸우고 있는 상황이예요. 그러니까 이것도 보세요. 음이 끌어내리는 데 양이 치고 올라가는 중에 두 번 치고 올라가고 세 번 치고 올라간 모습이 실제로는 이거에요. 왜냐면 순수한 양, 순수한 음도 얘기할 수 있지만 현상계에서는 순수한 음, 순수한 양이 어딨어요. 양과 음이 서로 계속해서, 태극으로 돌아가고 있는 거죠. 양과 음이 서로 계속 다투고 화합하면서 이 우주가 굴러 가기 때문에 지금 건도 양이, 그러니까 발산이 지금 곱하기 3인 거에요. 하나하나 쌓여간 거죠. 이 곤괘가 유순 하다고 할 때도 이 유순함이, 지금 보세요, 그냥 유수함이 아니라 음이 양 밑에 생겨서 양은 계속 발산 하려고 하는 것을 음이 끌어당기는 거예요. 못나가게, 그러면 음이 2개가 커져서 더 끌어당기고 그러다가 음이 이렇게 커진 거죠. 유순함이라는 것도 굳셈에 대해서 유순함이 하나 생겨서 유순함이 점점 커지다가 굳셈과 계속 다투는 중에 유순함이 곱하기 3 이예요. 유순함이 얼마나 커졌겠어요, 부드러움이, 또 이렇게 반대가 아니라 다른 식으로 말하면 수렴력이, 이쪽은 발산력이, 굳셈이 이렇게 부드러움을 치고 올라간 거고, 굳센 중에 부드러움이 또 생겨서 부드러움이 치고 올라간 거예요. 그래서 지금 순수한 양과 음이라는 것은 형이상학적으로 있는데 현상계에서는 순수한 음과 양이 아니라 음양의 변화 속에서 우주가 굴러 간다. 이런 느낌 아시겠죠?  
454번째 줄: 454번째 줄:


오늘 여기까지 할게요. 어우 진괘, 저는 건곤괘만 힘들줄 알았네요. 보아하니 앞으로 다 힘들 것 같습니다. 취소, 지난번에 이제 어려운거 다 끝났다. 취소, 계속 이러지 않을까 싶은데, 희소식은 8개 밖에 없다는 거, 8개 밖에 없으니까 벌써 3개 했으면 3개, 다섯 개만 더 이겨내시면 여러분들 주역을 자유자재로 응용 하실 수 있는 기본 토대가 갖춰진다. 가장 핵심 토대는 갖춰진다. 8괘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니까, 오늘 여기까지 할게요. 마치겠습니다.  
오늘 여기까지 할게요. 어우 진괘, 저는 건곤괘만 힘들줄 알았네요. 보아하니 앞으로 다 힘들 것 같습니다. 취소, 지난번에 이제 어려운거 다 끝났다. 취소, 계속 이러지 않을까 싶은데, 희소식은 8개 밖에 없다는 거, 8개 밖에 없으니까 벌써 3개 했으면 3개, 다섯 개만 더 이겨내시면 여러분들 주역을 자유자재로 응용 하실 수 있는 기본 토대가 갖춰진다. 가장 핵심 토대는 갖춰진다. 8괘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니까, 오늘 여기까지 할게요. 마치겠습니다.
 
[출처] [녹취] 주역_진괘의 물상 풀이 (210327) (홍익학당) | 작성자 ㅣ신사ㅣ동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