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학당 자막검수 매뉴얼】 ver.20240620.
1.자막검수 작업의 취지
(1)학당 강의를 AI 등으로 1차 녹취한 자료는 많으나 여기에는 오타나 정선되지 않은 부분이 많아 그대로 쓸 수 없어 많은 녹취 파일이 방치되고 있음.
(2)학당 직원 멘토는 현재 숫자가 적어 각자 업무가 포화상태여서 녹취 파일을 일일이 검수하지 못하는 상태임.
(3)이에 희망하시는 학당 회원분들의 도움을 받아 녹취 파일 검수를 대량으로 진행하여 동영상 활용도와 전파력을 높이고자 함(향후 번역작업에도 활용)
2.자막검수 작업의 당부사항
(1)검수팀 분들께서 검수한 파일이 그대로 방송에 나간다는 점을 인지하여 작업의 취지, 공지사항, 아래 매뉴얼 내용 등을 자주 숙지해 주실 것을 권합니다.
(2)다만 재능기부를 해 주신다는 취지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다른 유튜브 방송의 경우 단순 AI녹취 수준으로도 얼마든지 자막이 나가고 있는 점을 이해하고 있으므로, 너무 부담갖지 마시고 되는 대로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따라서 다른 분들이 검수한 것을 가급적 지적하지 않도록 해 주시되, 이미 검수 완료한 자막에서 실수로 미비된 점이 발견되어 회원들이나 대표님의 지적이 있는 경우 너무 주눅들지 않으시길 바랍니다.(오히려 얼마든지 실수가 있을 수 있으니 다른 분들의 지적을 쿨하게 받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막 실수가 발견된 경우 조치는 영상팀 직원들이 수행하므로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3.자막검수 작업 시 원칙
●최대한 실제 음성에 가깝게 녹취하되 맞춤법 등을 준수합니다.
●비속어, 실수 내지 무의미한 말(발음,단어 등) 등은 순화어로 바꾸거나 삭제합니다.(자막을 달지 않아도 무방함)
●자막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마침표 이외의 기호는 최대한 넣지 않습니다.(꼭 필요불가결한 경우에 한해 넣습니다.)
●제목이 이상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지적해 주시거나 수정 제안해 주세요.(직원이 임시로 제목을 달기에 진짜 이상한 제목도 왕왕 있습니다^^;;)
4.자막검수 작업의 내용, 과정(프로세서)
(1)강의파일&1차녹취파일 등장(주로 선비님,동파님,카셀님,동풍님 등)
_검수 요청 직원이 강의 파일(MP3)과 1차 녹취 텍스트 파일(AI로 자동 녹취된 파일)을 대화방에 올립니다.
(2)자율적으로 검수 파일 선택
_검수방에 올라온 검수 요청 파일에 대해 검수를 하고 싶은 회원은 해당 말풍선에 공감(스티커,리액션) 표시를 달아 주세요. "제가 하겠습니다."라고 채팅까지 올려 주시면 금상첨화!
_검수는 자율이므로 본인의 역량과 여유가 되는대로 해 주시면 됩니다. 무리하지 마세요^^
(3)검수
_강의 파일과 텍스트 파일을 대조하고 맞춤법과 아래 "자막검수 매뉴얼"을 참고하여 텍스트 파일을 수정합니다.
(4)완료
_완료된 텍스트 파일을 대화방에 올립니다.
_린포체가 완료된 텍스트 파일에 공감(스티커,리액션) 표시를 달면 영상팀 작업이 진행됩니다.
5.자막검수 매뉴얼(매뉴얼은 꾸준히 업데이트됩니다.)
●자막검수는 사전과 맞춤법을 따르되, 녹취의 성격상 아래 내용을 참고한다.
●문단은 어떻게 나누나?(문단나눔)
_문장 흐름에 따라 말이 끝나지 않더라도(즉 마침표가 나오기 전에라도) 적절히 끊어서 나누면 되며,
_선방토크,양덕파티,쇼츠,생생톡톡,3분인문학(제목에 있습니다.)은 20자 이내
(20자 단위로 끊으라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문단나눔하되 20자를 넘으면 안된다는 뜻)
(아래 문장을 검수파일에 붙여서 검수 후 지우시면 편하실 겁니다.)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가타파하가나다라마바
_그밖의 강의(긴 강의)는 40자 이내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가타파하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
●AI가 한 녹취의 경우, 대충 발음에 맞게 유사한 단어로 녹취를 해 주기에 오히려 눈에 띄지 않는 이상한 단어가 끼어들 수 있음에 유의. AI 녹취는 실제 발언과 완전히 반대의 뜻이 되는 경우도 종종 있음
<예:열을(열흘)/애고(에고)/깨워서 살아가는(깨어서 살아가는)/연구에 들어가면(연구해 들어가면)/카수뱌경(카수바경)/있잖아요(있지 않아요)/탕진치(탐진치)/인의에지(인의예지) 등>
●마침표 이외의 기호는 필요불가결한 경우가 아니면 최대한 넣지 않는다.
_자막은 방송 보조 장치로서 이미 대표님 음성이 나오는 데 보조적으로 자막이 제공되는 것이므로, 음성을 들을 때 헷갈릴 수 있는 곳에만 적절하게 들어가면 되고, 일반 글(책 문장 등)을 생각하면서 따옴표 등을 많이 사용하면 자막 가독성이 오히려 떨어짐.(자막 자리도 많이 잡아먹게 됨. 말은 빨리 지나가는데 기호 등으로 글자를 많이 못 넣으면 자막도 빨리 지나가야 함)
_쉼표도 가급적 생략하되, 도치된 부분을 표시하는 경우(아래 참조)에는 넣는다.
_물음표는 평서문과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 넣는다.
_따옴표 등은 가급적 넣지 않는다.
●반말로 된 경우 가급적 존대말로 변경(청취자 고려. 단 자연스러운 경우에는 수정하지 않아도 무방)
<예:~하지→~하죠>
●강의 중 자연스럽게 또는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사용한 비속어(욕, 비하하는 용어 등)나 실수 내지 무의미한 말(발음,단어) 등은 순화어로 바꾸거나 삭제
●아래의 단어는 학당에서 사용하는 일종의 고유단어(사전에는 없지만)로 보아 붙여씀
<예:깨어있음/참나각성/6바라밀/인의예지/근본원리/보편법칙/마음챙김 등>
●숫자,기호,영어를 한글로 풀어 녹취한 경우, 숫자,기호,영어로 수정해 주면 가독성이 높아짐
<예:육바라밀→6바라밀, 사단→4단, 오케이→OK>
다만 생각,감정,오감과 같이 앞단어와 대칭적으로 쓰는 경우에는 균형감을 고려해 숫자로 바꾸지 않음
●도치된 문장 사이에 쉼표 넣기
<예:과거는 구약의 시대죠, 신약이 나왔다고 해도.
대승의 시대도 마찬가지예요, 불교적으로는.
이게 다 모순입니다, 사실.>
●에요,예요,아니에요
‘~이다.’라는 뜻의 ‘~이에요.’를 줄인 말이 ‘~예요.’
그러니까 ‘이’ 없이 그냥 ‘~에요.’로 끝나는 문장은 없음. 단 ‘~이다.’라는 뜻이 아니라 장소나 방향을 뜻하는 ‘~에’가 온 뒤 ‘요.’로 끝나는 경우는 가능<예:서울에요>
‘아니에요.’가 맞고 ‘아니예요.’는 틀림
●한자 처리
_한자는 웬만하면 부기하지 않음(자막의 특성 또는 가독성 감안)
_강의 중 한자(漢字)를 소개할 경우가 있음. 예컨대 '정성 성 자' '가운데 중 자'와 같이 한자를 소개할 경우, 훈(새김)과 음과 자(字)를 모두 띄면 됨
●티벳→티베트
●그 다음 → 그다음
보통 ‘그’ 뒤에는 띄어쓰지만 ‘그다음’은 붙임
●~해야 될, ~해야 된다, ~해야 돼요 → ~해야 할, ~해야 한다, ~해야 해요
●안, 못(부정부사)
띄어쓰는 게 원칙인데 다른 품사인 경우 붙일 때 있음(사전 참조)
●자주 틀리는 단어
침팬지(침팬치,침펜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