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신고 6강: 두 판 사이의 차이
홍익학당 아카이브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08:01 | 08:01 | ||
이 陽이 제일 강대한데 음의 싹이 있단 얘길 해놓은 거고, 그 陰이 힘을 발휘한단 얘길 해 놓은 거예요. 실제로 이 때 다 陰 세상이 왔다는 게 아니고 陽이 衝天해 있는데 陰이 작동을 시작했다는 거예요. 고 작동해서 그, 그게 뭡니까. 陽을 끌어내리는 거죠. 陽은 발산이 맛인데 陰이 위에서 끌어 내리고 있어요. 금 이게 가을의 시작입니다. 兌卦. 가을입니다. 그런데 끌어 내리는데 이 때쯤 되면요 가을이 깊어져서 이제 겨울 되기 전에 이제 천지가 이제 얼어붙는데 그 때 陽이 사라진 거 같지만 陽이 안 죽고 살아있다. 해서 여기다 陽을 그려놓은 겁니다. 이, 이걸 그려놨단 거 자체가 이 때가 陽이 제일 이제 위기에 몰려있을 때, 사라져 갈 때라는 건데요 예, 그래서, 그런데 그 陽이 이거거든요. 그 陽이 안 죽고 陰 속에 살아있습니다. 요게 坎卦예요. 고 坎卦에서 있던 요 양기가, 생명력이 다시 이렇게, 짐 이거는 山이거든요. 산도 의미하구요 지금 이 卦를 정상적으로 보면 陰陰陽이니까, 땅(☷)인데 + 離卦랑 坤卦가 합쳐진 거 거든요. 위에는 離卦( | 이 陽이 제일 강대한데 음의 싹이 있단 얘길 해놓은 거고, 그 陰이 힘을 발휘한단 얘길 해 놓은 거예요. 실제로 이 때 다 陰 세상이 왔다는 게 아니고 陽이 衝天해 있는데 陰이 작동을 시작했다는 거예요. 고 작동해서 그, 그게 뭡니까. 陽을 끌어내리는 거죠. 陽은 발산이 맛인데 陰이 위에서 끌어 내리고 있어요. 금 이게 가을의 시작입니다. 兌卦. 가을입니다. 그런데 끌어 내리는데 이 때쯤 되면요 가을이 깊어져서 이제 겨울 되기 전에 이제 천지가 이제 얼어붙는데 그 때 陽이 사라진 거 같지만 陽이 안 죽고 살아있다. 해서 여기다 陽을 그려놓은 겁니다. 이, 이걸 그려놨단 거 자체가 이 때가 陽이 제일 이제 위기에 몰려있을 때, 사라져 갈 때라는 건데요 예, 그래서, 그런데 그 陽이 이거거든요. 그 陽이 안 죽고 陰 속에 살아있습니다. 요게 坎卦예요. 고 坎卦에서 있던 요 양기가, 생명력이 다시 이렇게, 짐 이거는 山이거든요. 산도 의미하구요 지금 이 卦를 정상적으로 보면 陰陰陽이니까, 땅(☷)인데 + 離卦랑 坤卦가 합쳐진 거 거든요. 위에는 離卦(⚎ ←☲)고 밑에는 坤卦(⚏ ←☷)잖아요. 즉 땅이 불처럼 타오르고 있다는 겁니다. 그럼 산이에요. 이렇게 안 보더라도 陰氣가 陽을 따라가고 있는 형국이거든요. 음기는 수렴돼야 맛인데 양이 끌어올려 놓으니까 산이 됐다는 거예요. 이해되시죠. 그래서 끌어올려진 채로 정지돼 있으니까 정지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艮卦는. 停止. 陽이 더 갈 데가 없잖아요. 정지된. 밑에선 수렴하고 있으니까 더 못 가고 딱 정지. 그런 의미도 있고 땅이 하늘하고 만나는 곳이 산이기도 하고요. 산에 가서 제사 지내는 거, 天祭를 지낼 때. 땅이 하늘을 만나고 있는 곳이니까. 하늘 만날라면 산으로 가라는 거죠. 그래서 그쳐있다는 의미도 있고 정, 그런데 이 의미만 있는 게 아니에요. 지금 이거는요 이 괘는 또 뒤집어서도 볼 줄 알아야 되거든요. 陰은 원래 수렴하는 게 맛이고 陽은 솟아나는 게 맛이니까, 요 괘는요 뒤집어서 이렇게도 볼 수 있어야 돼요. 음이 엄청 끌어내리고 있는데 양기가 치고 올라오고 있는 형국. | ||
10:11 | 10:11 | ||
| 61번째 줄: | 61번째 줄: | ||
14:08 | 14:08 | ||
木生火. 그럼 이 土가 여기 괜히 있는 거 같잖아요. 안 그래요. 土剋水 木剋土. 제가 이전에 주장했죠. 水生木이 가능할려면 물은, 물은 흘러버리기 때문에 물에서 바로 나무가 못 자라요. 水生木이 될려면 水를, 흘러버리는 水를 누가 잡아줘요? 고정시키는 땅이 잡아주고, 땅을 누가 뚫고 올라와요? 땅에서 뿌리를 두고 나무가 뚫고 올라와요. 그래서 水生木이 되고. 자, 8괘는 오행상생상극이 다 결합돼 있는 구좁니다. 8괘는 오행상생도 아, 상생만도 아니고 상극만도 아니에요. 두갤 다 그려놓은 거예요. 土가 그러니까 土의 작용이 아주 중요한 게 여름에서 가을 넘어갈 때 土 작용이 중요하고, 겨울에서 봄 올 때 土 작용이 중요해, 실제로 신기하게 단학을 하시면요 배꼽이 土고 하단전이 水거든요. 여기 左脇, 왼쪽 옆구리. 오른쪽 옆구리. 여기는 명치쯤에 해당됩니다. 배에서 5행이. 단전호흡을 하시면 배꼽에서 기운이, 기운이 이 하단전에서 배꼽을 통해서 옆으로 빠져요. 土를 거쳐서. 水를 土가 머금은 뒤에 土를 뚫고 나무가 올라와요. 이게요 신기하게 배에서 하단전에 기운을 보내도 배꼽에서 옆으로 치고 나가서 이렇게 돕니다. 나중엔 하나로도 도는데. 신기하죠. 8괘대로 돌아요. 8괘에서 중심이 土가, 동북방에 있을 제후가 천자 자리에 와 있으니까 여기 왔다 가죠. 요 기가막힌 건데요. 이런 거 노벨상 탈 만한. 제가 발견했다는 게 아니라 봉우 선생님이 얘기하신 건데, 제가 역학적으로 풀어 본 건 이제 제가 풀어본 거지만. 요 궤도를 강조해 주신. 이게 중국 道經에 이미 다 있어요. | 木生火. 그럼 이 土가 여기 괜히 있는 거 같잖아요. 안 그래요. 土剋水 木剋土. 제가 이전에 주장했죠. 水生木이 가능할려면 물은, 물은 흘러버리기 때문에 물에서 바로 나무가 못 자라요. 水生木이 될려면 水를, 흘러버리는 水를 누가 잡아줘요? 고정시키는 땅이 잡아주고, 땅을 누가 뚫고 올라와요? 땅에서 뿌리를 두고 나무가 뚫고 올라와요. 그래서 水生木이 되고. 자, 8괘는 오행상생상극이 다 결합돼 있는 구좁니다. 8괘는 오행상생도 아, 상생만도 아니고 상극만도 아니에요. 두갤 다 그려놓은 거예요. 土가 그러니까 土의 작용이 아주 중요한 게 여름에서 가을 넘어갈 때 土 작용이 중요하고, 겨울에서 봄 올 때 土 작용이 중요해, 실제로 신기하게 단학을 하시면요 배꼽이 土고 하단전이 水거든요. 여기 左脇, 왼쪽 옆구리. 오른쪽 옆구리. 여기는 명치쯤에 해당됩니다. 배에서 5행이. 단전호흡을 하시면 배꼽에서 기운이, 기운이 이 하단전에서 배꼽을 통해서 옆으로 빠져요. 土를 거쳐서. 水를 土가 머금은 뒤에 土를 뚫고 나무가 올라와요. 이게요 신기하게 배에서 하단전에 기운을 보내도 배꼽에서 옆으로 치고 나가서 이렇게 돕니다. 나중엔 하나로도 도는데. 신기하죠. 8괘대로 돌아요. 8괘에서 중심이 土가, 동북방에 있을 제후가 천자 자리에 와 있으니까 여기 왔다 가죠. 요 기가막힌 건데요. 이런 거 노벨상 탈 만한. 제가 발견했다는 게 아니라 봉우 선생님이 얘기하신 건데, 제가 역학적으로 풀어 본 건 이제 제가 풀어본 거지만. 요 궤도를 강조해 주신. 이게 중국 道經에 이미 다 있어요. 진각종(眞覺宗)에 가면 지금 이렇게 합니다. 진각종에서. 진각종에서 이렇게 외요. 예. 아, 이렇게죠. | ||
16:06 | 16:0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