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홍식의 인문학 강의 - 맹자 진심장 3강: 두 판 사이의 차이

홍익학당 아카이브
새 문서: [https://youtu.be/A76ePjLB9ys 윤홍식의 인문학 강의 - 맹자 진심장 3강 보러 가기] 녹취록<br> 클로버 노트 운용: 동파<br> 검수자: 보급형 (검수자 註: 홍범구주의 ‘천광’에 대해, 홍범구주 강의 자료를 보면 天子之光이라고 합니다. 딱 天光이라는 단어는 안 보입니다. https://cafe.naver.com/bohd/34549 자막에는 반영하지 마시고요.) “지나가면 변화가 일어나고 거기에...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https://youtu.be/A76ePjLB9ys 윤홍식의 인문학 강의 - 맹자 진심장 3강 보러 가기]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녹취록<br>
|-
클로버 노트 운용: 동파<br>
| 강의일자 || 2010.
검수자: 보급형
|-
 
| 게시일자 || 2015. 07. 10.
 
|-
 
| 동영상 길이 || 1:35:41
 
|-
 
| 강의 중 인용 도서 || 맹자, 중용, 동호문답
(검수자 註: 홍범구주의 ‘천광’에 대해,
|-
홍범구주 강의 자료를 보면 天子之光이라고 합니다. 딱 天光이라는 단어는 안 보입니다.
| 유튜브 주소 || https://youtu.be/A76ePjLB9ys
https://cafe.naver.com/bohd/34549
|}
자막에는 반영하지 마시고요.)




90번째 줄: 88번째 줄:
옛날에 소를 신성시하는 것도 뿔 때문이죠.  
옛날에 소를 신성시하는 것도 뿔 때문이죠.  
하늘로 솟구친 뿔. 그래서 하늘을 향해 이렇게 치솟아 오르는 것에 대해서 되게 중요시하는데, 이 황극(皇極)에서 말하는 황(皇) 자도 옛날에 임금 중에 아주 제일 뛰어난 임금인데 “머리에 뿔 꽂았다.”라고 볼 수도 있고요.  
하늘로 솟구친 뿔. 그래서 하늘을 향해 이렇게 치솟아 오르는 것에 대해서 되게 중요시하는데, 이 황극(皇極)에서 말하는 황(皇) 자도 옛날에 임금 중에 아주 제일 뛰어난 임금인데 “머리에 뿔 꽂았다.”라고 볼 수도 있고요.  
한편으로는 빛으로 볼 수도 있는 게, 실제 『홍범구주(洪範九疇)』에서 임금이 가진 빛을 천광(天光)이라고 그래요.
한편으로는 빛으로 볼 수도 있는 게, 실제 『홍범구주(洪範九疇)』에서 임금이 가진 빛을 천광(天光)<ref>홍범구주의 ‘천광’에 대해, 홍범구주 강의 자료를 보면 天子之光이라고 합니다. 딱 天光이라는 단어는 안 보입니다. https://cafe.naver.com/bohd/34549</ref>이라고 그래요.
그래서 광(光) 자가 이렇게 머리에 불이 나는 사람을 그려요.  
그래서 광(光) 자가 이렇게 머리에 불이 나는 사람을 그려요.  
원래 이게 ‘빛 광(光)’ 자예요. 머리에서 불이 치솟는 사람. 그래서 그 사람이 너무 밝다는 거예요, 머리가, 환해 가지고 그 사람한테 물어보면 다 나오고, 그 사람이 하라는 대로 하면 다 맞고, 실제 인간사에서.
원래 이게 ‘빛 광(光)’ 자예요. 머리에서 불이 치솟는 사람. 그래서 그 사람이 너무 밝다는 거예요, 머리가, 환해 가지고 그 사람한테 물어보면 다 나오고, 그 사람이 하라는 대로 하면 다 맞고, 실제 인간사에서.
1,144번째 줄: 1,142번째 줄:
좀 아래 등급으로 보는데,
좀 아래 등급으로 보는데,
우리가 볼 땐 제갈량 천민(天民) 맞죠.
우리가 볼 땐 제갈량 천민(天民) 맞죠.
{{각주}}